본문 바로가기

공부

[코로나19] 이름도 어려운 길랑바레 증후군

반응형

백신 개발과 접종 그리고 부작용에 대한 이슈가 나오면서 아나필락시스, 길랑바레 증후군과 같은 익숙하지 않은 질환에 대한 기사나 뉴스가 많이 보입니다. 

 

지난번에 아나필락시스에 대해 찾아보았는데요. 아나필락시스는 일종의 알러지 반응이라면, 길랑바레 증후군신경질환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19] 아나필락시스? -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없다는데?

오늘 아침 아나필락시스 전력이 있을 때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없다는 뉴스를 보았다. 英 "아나필락시스 전력땐 백신 못맞는다"..美임상선 '구안와사' 영국에서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신종 코

mygt.tistory.com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GBS)

1. History

  • 인간에서 발생하는 급성 이완성 마비 증후군 중 하나
  • 1916년 프랑스 신경과 의사 Georges Guillain(길랑), Jean-Alexandre Barre(바레)와 Andre Strohl(이 사람은 왜 빼냐)에 의해 소개됨.
  • 당시 유행하던 급성 이완성 마비의 원인인 소아마비(poliomyelitis)와 구별
  • 세포-단백 해리(albuminocytologic dissociation)라고 불리는 뇌척수액의 정상 세포수와 단백질 상승 소견이 특징

 

2. 종류

  • 급성 염증성 말이집 탈락 여러신경뿌리병증(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AIDP)
  • 축삭형: 급성 운동 축삭 신경병증(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AMAN), 급성 운동 및 감각 축삭 신경병증(acute motor and sensory axonal neuropathy, AMSAN)
  • 급성 감각 신경병증(acute sensory neuropathy)
  • 급성 전자율신경부전(acute pandysautonomia)

 

3. 유병률

  • 세계적으로 100,000명당 0.6-4명
  • 유럽 인구 대상: 100,000명당 1.2-1.9명
  • 남자는 여자에 비해 1.5배 많음
  • 나이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30세 이하에서 100,000명당 1명, 75세 이상에서 100,000명당 4명)
  • AIDP: 북부 아메리카, 유럽에서 가장 빈번, 전체의 90% 차지함
  • 축삭형: 아시아와 남부 및 중부 아메리카에서 30-47%

 

4. 특징

  • 2/3 정도는 증상 시작 6주 전 내에 상부 호흡기 감염, 위장관염 등 감염 증상 보임
  • Epstein-Barr virus, Mycoplasma pneumoniae, Campylobacter jejuni, cytomegalovirus 감염과 관련
  • 백신 접종 후 발생 가능
  • 1976-77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처음으로 시작
  •  New Jersey에서 돼지독감 백신 접종 후 6-8주 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GBS 위험도의 증가가 보고됨
  • 1992-93, 1993-94년 미국 백신 캠페인의 분석: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6주 동안 약간의 GBS 위험이 증가 보고, 간염백신, 뇌수막염 백신 후 발생한 GBS 보고 --> 접종 후 유병률과 그 자체의 유병률 차이 없음
  • 예방접종의 이익과 위험성은 GBS 발생과 각각의 백신 접종과의 가까운 시간적 관련성 때문에 의사와 환자에 따라개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수술과 두부외상 후 많이 발생: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음, 직접적인 말초신경의 손상과 관련이 없고 순환계로 말초신경이 노출 시 신경 조직에 대한 자가항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GBS의 발현 촉진 가능성

 

5. 임상적 특징

5.1. AIDP

  • 전반적인 근육 쇠약: 대부분 하지에서 상지로 진행, 1/3은 사지가 동시에 침범, 약 10% 이상에서 상지가 먼저 침범
  • 얼굴 근육 쇠약은 50%에서 일어날 정도로 흔히 발생(양측성으로 침범)
  • 호흡근 쇠약은 심각, 환자의 25%에서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함(예후가 좋지 않음을 의미)
  • 15%에서 발생하는 자율신경부전
  • 부정맥, 고혈압, 저혈압, 장폐색, 요저류 등 나타남

5.2. 축삭형

  • 빈번한 호흡기계 침범, 인공호흡기 의존, 뇌신경 침범, 약간의 자율신경계 침범, 더 빠르고 심각한 경과를 나타냄
  • AMAN형: 급격한 근육 위약과 반사의 소실을 동반한 순수 운동 증후군
  • AMSAN: 임상적으로 운동과 감각 모두의 소실이 특징적

 

6. 진단

  • 많은 감별진단이 필요함
  • 상행성 위약, 반사 감소, 반사 소실에 따른 감각 손실의 임상적 특징은 GBS를 의심해야 함
  • 신경전도 검사와 뇌척수액 분석이 진단을 확정하는데 도움

6.1.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 GBS 진단의 가장 중요한 검사
  • 신경전도 검사: 축삭형 GBS의 AMSAN과 AMAN을 구별하는데 도움을 줌
  • 최소한 3가지 감각신경과 4가지 운동신경, F-wave, H-reflex검사 실시해야 함
  • 말이집탈락의 전형적인 신경전도 검사 소견: 운동 전도 차단의 존재, 비정상 일시적 운동 반응 분산, 원위부 운동신경과 F 파에서의 연장된 잠복기, 최대 운동전도 속도의 감소
  • 환자의 85% 이상에서 신경전도 검사상 말이집탈락 소견이 나타나지만 13%에서는 첫 신경전도 검사 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확진을 위해 1-2주 내로 재검사 실시해야 함

 

6.2. 뇌척수액 검사

  • 단백 농도 증가, 정상 혹은 50 cells/mm 미만의 단핵구 세포(알부민 세포 해리, albuminocytologic dissociation)는 환자의 80%에서 나타남
  • 증상 발현 첫 1주 내 뇌척수액 검사 소견은 정상일 수 있음

 

7. 병리학

7.1. AIDP

  • 말초신경에 다병소성으로 단핵구가 침윤
  • 활성화된 대식세포들이 말이집막에 침윤되어 말이집을 손상시키고 결국 말이집 탈락현상을 일으킴
  • 대식세포 매개성 신경손상의 면역학적 기전은 명확하지 않음

7.2. AMAN

  • 대식세포가 말이집 막은 남겨둔 채 슈반 세포와 축삭 사이의 공간에 침투
  • AIDP환자에 비해 회복속가는 빠르고 병리학적인 과정은 축삭 전도 차단 혹은 원위부 축삭의 퇴행성으로 나타남
  • 중한 환자의 경우 축삭은 배쪽 신경부리(ventral nerve root)에서부터 손상, 결과적으로 회복기간이 연장

 

8. 예후

  • 증상이 발병 2주에서 4주에 제일 나빠지나 대부분 환자들은 회복,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은 편
  • 10-20%: 운동신경의 결손이 남음
  • 4-15%: 질병 발현 1년 후 사망
  • 1/3 이상: 남아있는 기능적 장애 때문에 직업, 취미, 사회적 활동의 변화 겪음
  • 나쁜 예후 예상 인자: 질병 발생 시 50세 이상의 고령, 침상생활, 인공 환기기가 필요할 정도의 위중한 상태, 질병의 급격한 악화, Campylobacter jejuni나 CMV(Cytomegalovirus) 감염의 증거, 신경전도 검사 상 축삭 손상의 증거(axonopathy), 뇌척수액 내 항체의 존재 등

 

 

 

 

* 위 그림은 신경세포의 그림입니다.

신경세포의 머리 부분에 있는 수상돌기(dendrites)에서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신경전달 물질이 들어오면 축삭(Axon)을 따라 내려가서 끝에 있는 발가락같이 생긴 부분으로 전달되어 옆에 있는 또 다른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쪽으로 시냅스를 형성하여 신경전달물질이 전달됩니다. 이때, 파란색 말이집(myelin, 수초) 부분이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말이집 신경(유수축삭), 말이집이 없는 것은 민말이집 신경(무수축삭) 이라고 부릅니다.  말이집 신경은 도약 전도(말이 집 사이 공간으로 점프하듯이 빠르게 전도)가 가능하여 신경전도 속도가 민말이집 신경보다 빠릅니다. 이렇듯 신경 전도에는 축삭과 말이집이 중요한데 이 축삭과 말이집이 손상받게 되면 신경 전도가 느려집니다. 이것은 운동신경(뇌에서 말초로 신경 전도하여 운동시킴)과 감각신경(말초에서 감각을 느껴 뇌로 전달) 모두에서 발생하고, 신경전도 검사를 통해 신경전도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백신을 접종했을 때 발생 가능한 중대한 부작용 중 하나이긴 하나, 미국 CDC에서 길랑-바레 증후군을 앓은 집단도 코로나 19 백신을 문제없이 접종받을 수 있다고 밝혔고 또한 현재까지 접종받은 190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관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