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개발과 접종 그리고 부작용에 대한 이슈가 나오면서 아나필락시스, 길랑바레 증후군과 같은 익숙하지 않은 질환에 대한 기사나 뉴스가 많이 보입니다.
지난번에 아나필락시스에 대해 찾아보았는데요. 아나필락시스는 일종의 알러지 반응이라면, 길랑바레 증후군은 신경질환 중 하나입니다.
[코로나19] 아나필락시스? -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없다는데?
오늘 아침 아나필락시스 전력이 있을 때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없다는 뉴스를 보았다. 英 "아나필락시스 전력땐 백신 못맞는다"..美임상선 '구안와사' 영국에서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신종 코
mygt.tistory.com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GBS)
1. History
- 인간에서 발생하는 급성 이완성 마비 증후군 중 하나
- 1916년 프랑스 신경과 의사 Georges Guillain(길랑), Jean-Alexandre Barre(바레)와 Andre Strohl(이 사람은 왜 빼냐)에 의해 소개됨.
- 당시 유행하던 급성 이완성 마비의 원인인 소아마비(poliomyelitis)와 구별
- 세포-단백 해리(albuminocytologic dissociation)라고 불리는 뇌척수액의 정상 세포수와 단백질 상승 소견이 특징
2. 종류
- 급성 염증성 말이집 탈락 여러신경뿌리병증(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AIDP)
- 축삭형: 급성 운동 축삭 신경병증(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AMAN), 급성 운동 및 감각 축삭 신경병증(acute motor and sensory axonal neuropathy, AMSAN)
- 급성 감각 신경병증(acute sensory neuropathy)
- 급성 전자율신경부전(acute pandysautonomia)
3. 유병률
- 세계적으로 100,000명당 0.6-4명
- 유럽 인구 대상: 100,000명당 1.2-1.9명
- 남자는 여자에 비해 1.5배 많음
- 나이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30세 이하에서 100,000명당 1명, 75세 이상에서 100,000명당 4명)
- AIDP: 북부 아메리카, 유럽에서 가장 빈번, 전체의 90% 차지함
- 축삭형: 아시아와 남부 및 중부 아메리카에서 30-47%
4. 특징
- 2/3 정도는 증상 시작 6주 전 내에 상부 호흡기 감염, 위장관염 등 감염 증상 보임
- Epstein-Barr virus, Mycoplasma pneumoniae, Campylobacter jejuni, cytomegalovirus 감염과 관련
- 백신 접종 후 발생 가능
- 1976-77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처음으로 시작
- New Jersey에서 돼지독감 백신 접종 후 6-8주 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GBS 위험도의 증가가 보고됨
- 1992-93, 1993-94년 미국 백신 캠페인의 분석: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6주 동안 약간의 GBS 위험이 증가 보고, 간염백신, 뇌수막염 백신 후 발생한 GBS 보고 --> 접종 후 유병률과 그 자체의 유병률 차이 없음
- 예방접종의 이익과 위험성은 GBS 발생과 각각의 백신 접종과의 가까운 시간적 관련성 때문에 의사와 환자에 따라개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수술과 두부외상 후 많이 발생: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음, 직접적인 말초신경의 손상과 관련이 없고 순환계로 말초신경이 노출 시 신경 조직에 대한 자가항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GBS의 발현 촉진 가능성
5. 임상적 특징
5.1. AIDP
- 전반적인 근육 쇠약: 대부분 하지에서 상지로 진행, 1/3은 사지가 동시에 침범, 약 10% 이상에서 상지가 먼저 침범
- 얼굴 근육 쇠약은 50%에서 일어날 정도로 흔히 발생(양측성으로 침범)
- 호흡근 쇠약은 심각, 환자의 25%에서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함(예후가 좋지 않음을 의미)
- 15%에서 발생하는 자율신경부전
- 부정맥, 고혈압, 저혈압, 장폐색, 요저류 등 나타남
5.2. 축삭형
- 빈번한 호흡기계 침범, 인공호흡기 의존, 뇌신경 침범, 약간의 자율신경계 침범, 더 빠르고 심각한 경과를 나타냄
- AMAN형: 급격한 근육 위약과 반사의 소실을 동반한 순수 운동 증후군
- AMSAN: 임상적으로 운동과 감각 모두의 소실이 특징적
6. 진단
- 많은 감별진단이 필요함
- 상행성 위약, 반사 감소, 반사 소실에 따른 감각 손실의 임상적 특징은 GBS를 의심해야 함
- 신경전도 검사와 뇌척수액 분석이 진단을 확정하는데 도움
6.1.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 GBS 진단의 가장 중요한 검사
- 신경전도 검사: 축삭형 GBS의 AMSAN과 AMAN을 구별하는데 도움을 줌
- 최소한 3가지 감각신경과 4가지 운동신경, F-wave, H-reflex검사 실시해야 함
- 말이집탈락의 전형적인 신경전도 검사 소견: 운동 전도 차단의 존재, 비정상 일시적 운동 반응 분산, 원위부 운동신경과 F 파에서의 연장된 잠복기, 최대 운동전도 속도의 감소
- 환자의 85% 이상에서 신경전도 검사상 말이집탈락 소견이 나타나지만 13%에서는 첫 신경전도 검사 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확진을 위해 1-2주 내로 재검사 실시해야 함
6.2. 뇌척수액 검사
- 단백 농도 증가, 정상 혹은 50 cells/mm 미만의 단핵구 세포(알부민 세포 해리, albuminocytologic dissociation)는 환자의 80%에서 나타남
- 증상 발현 첫 1주 내 뇌척수액 검사 소견은 정상일 수 있음
7. 병리학
7.1. AIDP
- 말초신경에 다병소성으로 단핵구가 침윤
- 활성화된 대식세포들이 말이집막에 침윤되어 말이집을 손상시키고 결국 말이집 탈락현상을 일으킴
- 대식세포 매개성 신경손상의 면역학적 기전은 명확하지 않음
7.2. AMAN
- 대식세포가 말이집 막은 남겨둔 채 슈반 세포와 축삭 사이의 공간에 침투
- AIDP환자에 비해 회복속가는 빠르고 병리학적인 과정은 축삭 전도 차단 혹은 원위부 축삭의 퇴행성으로 나타남
- 중한 환자의 경우 축삭은 배쪽 신경부리(ventral nerve root)에서부터 손상, 결과적으로 회복기간이 연장
8. 예후
- 증상이 발병 2주에서 4주에 제일 나빠지나 대부분 환자들은 회복,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은 편
- 10-20%: 운동신경의 결손이 남음
- 4-15%: 질병 발현 1년 후 사망
- 1/3 이상: 남아있는 기능적 장애 때문에 직업, 취미, 사회적 활동의 변화 겪음
- 나쁜 예후 예상 인자: 질병 발생 시 50세 이상의 고령, 침상생활, 인공 환기기가 필요할 정도의 위중한 상태, 질병의 급격한 악화, Campylobacter jejuni나 CMV(Cytomegalovirus) 감염의 증거, 신경전도 검사 상 축삭 손상의 증거(axonopathy), 뇌척수액 내 항체의 존재 등
* 위 그림은 신경세포의 그림입니다.
신경세포의 머리 부분에 있는 수상돌기(dendrites)에서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신경전달 물질이 들어오면 축삭(Axon)을 따라 내려가서 끝에 있는 발가락같이 생긴 부분으로 전달되어 옆에 있는 또 다른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쪽으로 시냅스를 형성하여 신경전달물질이 전달됩니다. 이때, 파란색 말이집(myelin, 수초) 부분이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말이집 신경(유수축삭), 말이집이 없는 것은 민말이집 신경(무수축삭) 이라고 부릅니다. 말이집 신경은 도약 전도(말이 집 사이 공간으로 점프하듯이 빠르게 전도)가 가능하여 신경전도 속도가 민말이집 신경보다 빠릅니다. 이렇듯 신경 전도에는 축삭과 말이집이 중요한데 이 축삭과 말이집이 손상받게 되면 신경 전도가 느려집니다. 이것은 운동신경(뇌에서 말초로 신경 전도하여 운동시킴)과 감각신경(말초에서 감각을 느껴 뇌로 전달) 모두에서 발생하고, 신경전도 검사를 통해 신경전도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백신을 접종했을 때 발생 가능한 중대한 부작용 중 하나이긴 하나, 미국 CDC에서 길랑-바레 증후군을 앓은 집단도 코로나 19 백신을 문제없이 접종받을 수 있다고 밝혔고 또한 현재까지 접종받은 190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관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19]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19 백신 검증 자문단 회의결과 발표 (0) | 2021.02.01 |
---|---|
[코로나 19] 화이자 백신 부작용 레포트?! (0) | 2021.01.09 |
[코로나19] 코로나 19(COVID-19) 치료제 품목허가 신청 접수!! - 셀트리온 (0) | 2020.12.31 |
[코로나19] 아나필락시스? -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없다는데? (0) | 2020.12.10 |
조혈모세포 이식 (0) | 2020.12.09 |